인류 최대 위기는 기후위기…무탄소 에너지는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뿐
SMR의 탁월한 안정성 강조
신형 원전개발 위해 정부지원 필수
정부·한수원 민간참여형 비즈니스 모델 제시
[헤럴드경제=서영상 기자]"21세기에 당면한 인류 최대의 화두는 기후위기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이른바 넷제로(Net-Zero)를 달성해야 하는데 탄소를 가장 많이 내는 에너지 부문을 무탄소화 하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인류가 가진 무탄소 에너지는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뿐입니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최근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에너지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소형모듈원전(small modular reactor·SMR)이 급부상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정 교수는 서울대, KAIST, MIT에서 원자력공학 학·석·박사 학위를 차례로 받았다. 한국수력원자력에서 APR 1400 설계개발 사업팀장을 지내고 2010년 한국연구재단 원자력 단장, 2017년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에너지환경전문위원장을 역임했다.
2021년부터 22년까지 제34대 한국원자력학회 회장으로 역임했으며, 2012년부터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정 교수가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SMR이란 일반적인 상업원전이 1000메가와트(MW) 이상의 전력생산 용량임에 비해 300MW 이하로 운영되는 원전을 말한다. 원전의 핵심 부품을 통합해 모듈형태로 구성한 소형모듈형 원전이다.
정 교수는 SMR의 큰 장점으로 탁월한 안전성을 강조했다.
그는 "원전의 약점은 안전성과 사용 후 핵연료 처분인데, SMR은 기존 대형원전에 비해 작은 출력으로 안전성을 갖습니다. 문제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외부 동력 의존 없이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원자력 이용을 확대해도 일반대중이 우려하는 안전 문제는 해소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 사용 후 핵연료 문제는 본질적으로 처분장을 만들면 해소됩니다."
또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면서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의 조합으로 무탄소 에너지 공급체계를 구축하기에 적합하다"며 말을 이어갔다.
이처럼 더 안전하고. 더 경제적인 에너지 공급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SMR의 산업생태계는 초기 단계 수준이다. 10여년 전에 가압경수형 SMR 원형로인 100MW급 SMART 원자로를 개발한 상태다. 미국.프랑스.영국 등도 신형 SMR 개발에 매진하고 있어 우리도 기존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혁신형 SMR을 개발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