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ECO.NTENT
home CONTENT Article
“몽땅 일회용품뿐” 장례식장 쓰레기봉투 열어보니 [지구, 뭐래?]
2023.02.16

캡처.JPG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음식 쓰레기만 빼고 나머진 그냥 일회용 식탁보에 다 뭉쳐서 버려요. 캔이라도 분리배출하면 다행이죠.”

 

조문객이 하나둘 모여드는 지난 15일 저녁. 서울 한 장례식장 지하주차장. 파란색 대형 비닐 안에 장례식장 빈소에서 막 버려진 쓰레기들이 담겼다. 안을 살펴봤다.

 

벌건 국물이 물든 나무젓가락과 찌그러진 스티로폼 접시, 포개진 종이 그릇, 커피 믹스 껍질들이 한데 뒤엉켜 있었다. 대부분이 일회용품 쓰레기들이다.

 

심지어 일부 봉투엔 캔이나 병 등까지 섞였다. 이후 병원 직원들이 이 봉투에서 캔, 패트병, 유리병 등을 골라냈다. 나머지 일회용품 쓰레기들은 75ℓ 초대형 종량제 봉투에 담긴다. 그렇게 산더미 같은 일회용품 쓰레기들이 이내 1t 트럭에 차곡차곡 쌓였다.

 

구석 수납 상자엔 흰 다회용기 그릇이 몇개 모여 있었다. 원래는 일회용 접시 대신 써야 했을 것들. 하지만 구석 창고 비품처럼 덩그라니 놓여 있었다.

 

캡처.JPG

 

테이크아웃 일회용 컵까지 보증금 내며 하나라도 안 쓰는 시대, 하지만 일회용품의 ‘성역’으로 남아있는 곳이 있다. 바로 장례식장이다.

 

조문 갔던 기억에서 슬픔을 걷어내고 밥상을 떠올려보자. 일회용 식탁보, 일회용 육개장 그릇, 일회용 밥 그릇, 일회용 편육 접시, 일회용 전 접시, 일회용 떡과 과일 접시, 일회용 수저, 일회용 젓가락, 일회용 컵. 단 1명의 조문객이 오더라도 상엔 모두 일회용품이 깔린다. 이것만 세도 10개가 넘는다.

 

조문객이 자리를 뜨면 간단히 음식만 빼낸 뒤 모두 일회용 식탁보로 감싼다. 식탁보는 일회용 비닐 격이다. 그 안엔 음식물이 묻은 각종 일회용품이 모두 모인다. 그리고 그대로 한편 파란색 대형봉투에 버린다. 조문객 몇 테이블만 받다보면 금새 봉투는 일회용 쓰레기로 가득찬다.

 

캡처.JPG

 

“보통 조문객이 100명 온다 하면 75ℓ 봉투 하나를 채우고 3분의 1이나 절반 정도 더 채울까요. 얼만큼 차곡차곡 담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1명 당 쓰레기 1ℓ 꼴로 나오는 셈이죠.”

 

이날 만난 상조회사 직원의 설명이다. 음식물이 묻어버린 수저와 밥그릇, 국그릇 등은 깨끗이 씻지 않는 한 플라스틱이든, 종이든, 스티로폼이든 모두 재활용이 불가하다.

 

캡처.JPG

 

이렇게 우리가 쏟아내는 장례식 일회용품 쓰레기는 총 얼마나 될까? 정확한 통계도 어렵다. 다만 일부 연구 결과로 짐작할 뿐이다.

 

환경부에서 2014년 발표한 일회용품 규제 관련 연구에 따르면, 연간 전국의 장례식장에서 쓰는 접시류 사용량만 연간 약 2억1000만개에 이른다. 접시만 이 만큼이다. 일회용 접시 모든 사용량 중 5개 중 1개 꼴이 장례식장용이다.

 

한때 장례식장에서 일회용품 사용 금지가 추진되기도 했다. 하지만 8년 째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애도 공간까지 환경 규제를 들이대기 어렵고, 전통적인 장례 문화를 단기간에 바꾸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하겠냐는 반발 때문이다.

 

작년 말 열린 국회 환경법안 심사소위에선 장례식장 내 일회용품 사용 규제 법 조항을 아예 없애자는 주장까지 나왔다. 결국, 환경부의 제안대로 장례식장 전체를 일회용품 사용 규제 대상 업종으로 규제하되 시행일을 3년 미루는 방안으로 절충됐다.

 

캡처.JPG

 

일부 지역이나 공영 장례식장 등에선 일회용품 대신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시범 사업이 운영되고 있다.

 

효과는 분명했다. 김해시는 작년 7개월 간 장례식장 3곳이 일회용기 대신 스테인리스 다회용기를 사용한 결과, 630건의 장례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 22t(72%)이 줄었다고 밝혔다.

 

다만, 막상 현장에선 어려움이 상당한 분위기다. 다회용기와 일회용품 중 상주가 선택하는 구조인데, 다회용기를 이용하려는 상주들이 적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규모의 경제가 안 되고, 다회용기 시스템을 유지하는 데에 비용이 많이 든다.

 

경기도 소재 한 공공 장례식장은 일회용품 대신 다회용기 세척, 소독 및 대여·수거 등을 위탁용역해 운영하고 있다. 이 관계자의 얘기다.

 

“하루 4만~5만 인분 규모의 다회용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 정도로는 빈소 3~4곳 정도 밖에 못 쓰거든요. 하지만 수요가 많지 않다보니 예산도 부족해 더 늘리기도 힘들어요.”

 

다회용기 사용을 적극 권장하던 사업 초반만 해도 일회용품 배출량이 절반으로 줄었다는 게 이 관계자의 말이다. 하지만 이후 일회용품 사용 금지도 보류되는 등 분위기가 바뀌면서 애써 시작한 사업은 다시 힘을 잃고 있다.

 

20211221000882_0.jpg

 

addressh@heraldcorp.com

 

 

 

share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