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기획
기사
멸종위기 동식물 다음은 인류...‘지구의 허파’ 숲을 지켜라[위기의 우탄, 동남아를 가다 ①]
2022.11.17

베트남·인도네시아 숲은 지금
꾹프엉 공원 산림면적만 서울 3분의1
원숭이 14종 재활·번식 구조센터 눈길
인니 보전·보호림만 한국 면적의 5배
2010년부터 나무 보호 기후·산림협약
국내 수입목재 ‘펠릿’ 3분의2 베트남産
인도네시아産 팜유 수입량 10년새 10배
열대림 벌채로 팜유 농장화 이어져
합법·불법 줄타기속 산림파괴 여전

 

Screenshot 2022-11-24 at 13.59.39.JPG

 

 

“원숭이들이 밥 먹으라고 다른 친구들과 가족들을 부르는 소리예요.”

 

처음엔 이름 모를 목관 악기 소리라 생각했다. 하나의 소리로 시작해, 비슷한 소리 수 십개가 더해지며 귀가 먹먹할 정도로 커졌다. 경고음이나 유도음처럼 인간이 만든 소리라 여겼다. 하지만, 동행한 공원 관리자는 “100% 자연의 소리”라고 전했다.

 

사람이 드나드는 길목에서도 야생의 소리를 접할 수 있는 이곳은 베트남 최초이자 아시아 최대 국립공원인 ‘꾹프엉(Cuc Phuong)’ 국립공원이다.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에서 기차로 약 2시간 30분을 달려 도착한 닌빈(Ninh Binh)시. 여기서 차로 약 1시간 30분을 더 달려야 꾹프엉 국립공원 입구에 도착할 수 있다. 헤럴드경제는 동남아시아 산림의 가치를 확인하고자 최근 이곳을 직접 찾았다.

 

가장 먼저 마주한 건 멸종위기 영장류 구조 센터(EPRC, Endangered Primate Rescue Center)였다. EPRC는 전 세계에서 200여 마리밖에 남지 않았다는 베트남 북부 서식 원숭이 델라쿠르 랑구르, 베트남 하롱베이에서만 서식하며 70여 마리만 생존한 깟바 황금머리 랑구르 등 멸종 위기 원숭이 14개 종, 180여마리를 보호하고 있다.

 

EPRC 관계자는 “멸종 위기 원숭이를 구조해 재활과 번식을 돕고 있다”며 “어느 정도 야생으로 돌아갈 준비가 되면, 꾹프엉 국립공원 내 모니터링이 가능한 반(半) 야생 지역으로 방생한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적인 멸종위기 영장류를 보호하고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수행할 만큼, 꾹프엉 국립공원은 생태적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전체 공원 면적은 2만2200ha(헥타르)에 달하는데, 이 중 산림 면적만 서울시 3분의1 크기다. 공원엔 2234종 이상의 식물과 122종의 파충·양서류, 델라쿠르 랑구르와 사향 고양이 등 135종의 포유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숲에 들어서자 잎 하나가 웬만한 방보다 큰 관목이 즐비했다. 아파트 10층은 훌쩍 넘길만한 고목도 흔했다. ‘천년 나무’라는 이름의 한 나무는 성인 남성 스무 명이 두 팔을 벌려도 감싸기 힘들 정도였다. 어디에서 어떤 동물이 튀어나와도 어색하지 않을 숲 속 분위기는 사람을 위축시킬 정도였다.

 

꾹프엉 국립공원처럼 생물 다양성 보존 등을 위해 특별 관리하는 산림 면적이 베트남에서만 200만ha에 달한다. 국내 강원도 면적(약 170만ha)보다도 넓다. 이밖에 목재 등 산업적 이용이 엄격히 금지된 보호림까지 합치면 그 면적은 600만ha에 달한다.

 

헤럴드경제가 취재한 또 다른 산림 강국은 인도네시아다. 인도네시아는 브라질과 콩고에 이어 열대림을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다. 산림 규모가 1억2050만ha에 달하는데, 이 중 산업적 이용이 가능한 산림을 제외하고 보전림(2210만ha)과 보호림(2960만ha)만 더해도 남한 면적 5배에 달한다. 꾹프엉 국립공원을 2300여개 품을 수 있는 규모다.

 

조준규 한·인니 산림협력센터 센터장은 “전 세계 약 1000만종의 생물 중 50% 이상이 아마존 유역과 중부 아프리카, 인도네시아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열대림에 살고 있으며 의약적으로 유용한 식물도 다수 존재한다”고 전했다.

 

인도네시아 산림자원의 가치를 보여준 최근 사례가 노르웨이와의 기후·산림 협약이다. 2010년 양국 정부가 맺은 협약으로, 인도네시아 내 산림 벌채가 줄어들면 노르웨이가 인도네시아에 최대 10억달러를 지원해주는 게 골자다. 즉, 나무를 보호하기만 해도 1조원 이상의 천문학적인 금액을 지원해주는 것. 이 협약은 체결 자체부터 전 세계 산림 관련 업계에 신선한 충격이었다.

 

물론, 산림자원의 중요성을 언급할 때 전 세계가 가장 먼저 주목하는 건 브라질 아마존이다. 하지만, 국내 관점에선 차이가 있다. 지리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산업적으로도 아마존보다 더 밀접한 게 바로 동남아 산림이다.

 

심지어 인도네시아는 양국 공식 수교 이전부터 산림 분야에 교류가 시작됐다. 1960년대 일제 수탈과 한국전쟁 이후 국내 목재 자급률은 극히 열악했다. 이에 동남아 산림을 적극 활용했다. 한국남방개발(KODECO)이 1968년 2월 첫 진출한 이후 인도네시아는 국내 목재 확보의 주요 대상국이 된다.

 

한강의 기적을 써내려가는 동안, 한국도 끊임없이 동남아 산림을 베어냈다. 1990년대 이후 산림자원의 지속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은 동남아 산림 자원에 의존하고 있는 산림 의존국이다. 대표적인 예가 목재 펠릿이다. 목재로 만든 연료로 화력발전소에서 이를 태워 전기를 생산한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매스 발전량 70% 이상을 목재 펠릿 연소가 담당한다.

 

국내 수입 목재 펠릿의 3분의2는 베트남 산림에서 온다. 베트남의 목재펠릿 1위 수출국도 한국이다. 총 연간 생산량이 350만t인데 그 중 절반 이상(약 60%)을 한국이 쓴다.

 

바이오디젤·중유 등이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으며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팜유(palm oil)도 있다. 과거 열대림을 대거 벌채해 이를 팜유 농장화했다. 지금은 정부 규제가 강화됐지만, 합법과 불법의 줄타기 속에 일선 현장에선 여전히 산림 파괴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최근의 수요 급증은 이 같은 위험을 더 부추긴다.

 

관세청에 따르면, 한국의 인도네시아산 팜유 수입량은 2012년 3만7370t에서 2021년 34만1802t으로 10배 이상 급증했다. 현재 한국에 들어오는 팜유의 절반 이상이 인도네시아산이다.

 

동남아 산림은 중요하다. 인류의 생존을 책임질 지구의 허파이자, 멸종위기에 직면한 수많은 동식물들의 마지막 서식지다. 인도네시아에서 만난 세카르 반자란 아지(Sekar Banjaran Aji) 그린피스 인도네시아 활동가는 간절한 눈빛으로 말했다.

 

“인도네시아인에게 숲은 자랑거리이자 자부심입니다. 그런 숲이 사라지고 있어요. 인도네시아 숲은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로부터 우릴 지켜줄 구세주가 될 수 있습니다.” 베트남 닌빈)=김상수·최준선 기자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human@heraldcorp.com
dlcw@heraldcorp.com

 

 

SHARE
이전글
“오늘 새우 드셨나요?...대신 맹그로브 숲이 사라졌어요” [위기의 우탄, 동남아를 가다 ②]
다음글
“한국, 베트남 목재 큰 손님...지속가능성 고민은 낮다” [위기의 우탄, 동남아를 가다 ①]
LIS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