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최준선 기자] 제주도에선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넘쳐난다. 풍력발전소의 경우 강제로 발전을 중단한 출력 제어 횟수가 지난 2020년 77회에 달할 정도다. 작년에는 전남 신안에서도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이 멈췄다.
하지만 궁금해진다. 어차피 바람은 불고 햇볕은 쬐는데, 굳이 발전을 멈추면 손해 아닌가?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은 약 16.2%. 육지의 6%보다는 훨씬 높지만, ‘탄소 제로’ 목표를 달성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럼에도 발전소를 멈출 ‘여유’는 왜 생기는 걸까?
이같은 답답함에 해법을 찾는 이들이 있다. 가상발전소(VPP)를 개발하는 소셜벤처 식스티헤르츠의 김종규 대표가 그중 한 명이다. 가상발전소란 기상을 고려한 발전량 예측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전국에 흩어진 발전소들을 IT기술로 연결해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서비스를 말한다.
“재생에너지 발전소는 일단 건설하고 나면 연료비가 안 들잖아요. 가능하면 계속 돌리는 것이 국가적으로 바람직합니다. 만약 일조량, 풍량을 예측해서 발전소 운영에 반영할 수 있다면? 바람이 너무 많이 분다고 발전소를 멈추는 대신, 그 시간에 맞춰 화석 연료 발전소들이 발전량을 줄이는 대응이 가능해질 겁니다. 혹은 발전량이 넘치는 시간에 전기차 충전을 몰아서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겠죠.”
탄소배출 제로를 외치는 이 시대에, 가상발전소는 없어선 안 될 솔루션처럼 들린다. 실제 글로벌에선 재생에너지 산업에 진출하려는 전통 석유 기업들이 눈여겨보고 있는 산업이기도 하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 왜 가상발전소가 중요한지 김종규 대표에게 물었다.
-가상발전소의 개념이 아직 생소합니다. 간단히 설명한다면?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어나면서 생기는 여러 어려움 중 하나는 당장 내일 발전량이 얼마인지 모른다는 겁니다. 기존 화석 연료를 활용한 발전이나 원자력 발전의 경우 출력이 일정하지만, 재생에너지는 날씨에 따라서 발전량이 달라지니까요. 그래서 전력망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선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그런 기술을 개발해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가동률을 높여주는 플랫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평소보다 많이 발전한 날에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도 있을 것 같은데요.
“저장하려면 설비 투자가 뒤따라야 하는데, 아직은 비용 대비 효과적인 수단이 아닙니다. 전력망을 안정시키기 위해 가장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조치가 출력을 제한하는 것이거든요. 하지만 바람직하지는 않죠.”
결국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연료가 필요 없는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가동률은 최대로 유지하는 한편, 발전량이 넘칠 때에는 비(非)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발전량을 낮추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전국에 퍼져있는 발전소별로 발전량을 예측해야 하고, 그 발전량을 중앙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IT플랫폼이 필요하다.
-기상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핵심이겠군요.
“네. 그래서 우리나라 기상청뿐만 아니라 미국 해양대기청에서도 기상 데이터를 가져다 쓰고 있고요. 올해부터는 유럽연합 데이터도 반영하려고 합니다. 이렇게 3개국에서 생산한 데이터를 알고리즘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기상 예측 기술이 회사 역량의 핵심이라면, 사실 경쟁 기업과의 차별화가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기상 정보는 공공데이터니까요.
“재생에너지 시장이 지금보다 커지면, 발전소의 가동률을 높게 유지하려는 과정에서 다양한 IT 서비스가 가능해질 겁니다. 가령 전기차는 도로 위에 있을 때는 운송 수단이지만 주차장에 있을 때는 커다란 배터리잖아요. 넘쳐나는 재생에너지를 저장하는 수단이 될 수 있겠죠.
스마트 가전과도 연계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에너지가 모자란 여름날이라고 해볼까요. 우리 서비스와 연결된 에어컨이 100만대라고 한다면, 한꺼번에 5~10분가량만 가동을 멈추더라도 블랙아웃 위기를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겠죠. 이처럼 전력 수급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여러 서비스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실제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유럽에서는 기상 상황에 따라 발전량이 넘칠 때 전기 요금이 마이너스로 책정되는 황당한 경우도 생긴다고 한다. 만약 수급 조절이 유기적으로 이뤄졌다면, 시민들이 마음대로 전기를 쓰도록 하는 대신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누가 식스티헤르츠의 솔루션을 쓰나요?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20112000973&ACE_SEARC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