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2023년까지 해저터널 건설
30여년간 125만t 이상 해상 방류
환경단체·전문가 “장기저장이 최선”
해양쓰레기로 몸살을 앓는 바다에 불확실성이 더해지고 있다. 우리 바다를 접하고 있는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결정하면서 방사능 물질 노출로 인한 해양 생태계 파괴와 수산자원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이다. 특히 일본 정부의 불투명한 정보 공개가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어 대응 마련에 더욱 경각심이 요구된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전격 결정했다. 오는 2023년까지 해저터널을 건설한 뒤 원전으로부터 1km 떨어진 해상에 방사성 물질 삼중수소(트리튬)이 포함된 오염수를 내보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총 30년여간에 걸쳐 총 125만톤 이상, 하루 최대 500㎡가 방류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또 오염수를 통해 바다로 들어갈 트리튬 총량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전 관리 기준인 연간 22조 베크렐(Bq)을 넘지 않도록 한다는 방류 기준도 밝혔다. 도쿄전력은 이 기준과 연간 80%(292일)의 방류시설 가동률을 적용해 1일 최대 배출 가능 삼중수소 총량을 753억Bq로 한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일본의 이같은 계획이 발표되자 국내외 환경단체들은 즉각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오염수에 함유된 방사성 물질이 해양 환경에 끼칠 영향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국내 환경단체인 환경운동연합은 “해저터널을 통한 1km 해상 방류로 어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은 눈속임에 불과하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오염수에 트리튬 외 방사성 물질이 함유돼 있는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도쿄전력이 특수 설비인 ‘다핵종 제거 설비(ALPS)’로 한 번 정화를 했음에도 탱크 속 오염수의 70%에 세슘, 요오드 등 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성 물질이 기준치 이상 포함돼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트리튬은 이 설비로 제거가 되지 않아 희석을 거쳐 방류가 계획되고 있지만, 수산물을 통해 인체에 침투될 경우 유기결합삼중수소로 전환돼 내부 피폭을 일으키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은 오염수 방류보다는 장기 저장이 최선의 선택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방사성 물질이 강도를 낮추는 반감기를 몇번 거치며 독성을 최소화할 때까지 장기 보관한 뒤 내보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지속해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보관할 대규모 물탱크 건설과 100년여 가까운 장기 유지 비용이 발생하는 만큼, 일본 정부가 해상 방류라는 쉬운 선택지를 취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국제사회가 오염수 해양 방류 재고를 촉구하고 있지만 결정이 번복될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한 대응도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방사성 물질에 따른 위험 정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일본 정부 측에 투명한 정보 공개를 할 것을 압박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정량화된 수치와 구체적인 계획 등을 지속 요구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우리 정부는 이와 함께 수산물이력제 등 수입 수산물에 대한 이력 관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원전 사고 이후 일본 8개 현의 수산물 수입을 중단했지만 여전히 연간 3만톤 이상의 일본산 수산물이 수입돼 밥상에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명태, 가리비, 돔 등 일본산이 많은 어종의 원산지 세탁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어 관리의 중요성도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세진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1895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