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에코
뉴스
초미세먼지 주범 ‘질소산화물’로 오염폐수 정화한다
2021.07.29

- KIST, 질소산화물을 수처리용 분해제 전구체(NO3)로 변화시켜 촉매에 고정
- 기존 라디칼 대비 폐수정화효율 5~7배↑, 촉매가격 30%↓

 

캡처.JPG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대형발전소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은 초미세먼지 유발 주범으로 꼽힌다. 이와 관련 국내 연구진이 질소산화물을 단순히 제거하는 것만이 아니라 하·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소재로 활용할 방법을 찾아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극한소재연구센터 김종식, 하헌필 박사팀이 육군사관학교 물리화학과 정근홍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하·폐수 내의 난분해성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수처리용 고효율 질소산화물(NOX) 기반 분해제(라디칼) 촉매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현재 오염된 물에 포함된 페놀, 비스페놀A 등 분해하기 어려운 난분해성 유기물은 물에 응집제를 넣어 바닥에 침전시켜 제거하거나 유기물 분해제(OH 라디칼)로 변하는 물질인 과산화수소(H2O2)나 오존(O3)을 과량 주입, 유기물을 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으로 변환시켜 제거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했다. 하지만 응집제의 경우 응집, 침전물들을 다시 제거해야 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고, 분해제는 유기물 분해 이후 추가적인 분해능력을 잃고 기체화되어 날아가게 되어 일회성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최근 비효율적인 기존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후보 물질로 기존 분해제보다 수명이 길면서 유기물 분해능력 또한 우수한 질소산화물의 한 종류인 NO3 분해제가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이 NO3 분해제는 방사성 물질 존재 하에 매우 큰 에너지를 주입하거나, 극한의 산성조건 등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만들 수 있어 일상용으로 사용할 수는 없었다.

 

연구진은 그 동안 제거의 대상으로만 여겨졌던 질소산화물(NOx)을 NO3 분해제로 손쉽게 변환해내는 촉매 합성법을 개발해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이산화망간 촉매 표면에 질소산화물(NO3)을 고정시킨 것이 특징이다. 150℃ 이하의 저온의 공기 중에서 질산염을 손쉽게 촉매 표면에 고정시켰는데, 이 촉매와 과산화수소를 물에 넣으면 촉매 표면에 고정된 NO3 분해제를 생성시킬 수 있다. 수중에 주입된 과산화수소가 금속 산화물 촉매인 이산화망간에 의하여 OH 분해제로 전환되고, 생성된 OH 분해제가 촉매 표면에 존재하는 NO3를 분해제로 변환시킨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NO3 분해제는 기존 분해제 보다 하·폐수 정화효율이 5~7배 증가되는 것을 실제 염색폐수에서 실험을 통하여 확인했다. 고정화된 NO3 분해제를 함유하는 금속 산화물 촉매는 손쉽게 대량 생산할 수 있고, 공정 비용이 저렴하여 제조단가가 기존 촉매(철염) 대비 30% 이상 저렴하고, 손쉽게 대량생산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었던 기존 촉매와는 달리 최소 10번 이상 재사용이 가능하다.

 

김종식 박사는 “현재 이 기술은 국내환경기업에 기술 이전돼 촉매의 대량합성이 용이하고, 기존의 하·폐수 처리 공정에 바로 적용할 수 있으며, 조만간 수처리 산업계에 실용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학회지 ‘JACS Au’ 최신호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720000705&ACE_SEARCH=1

 

SHARE
이전글
기후위기 #전시상황입니다
다음글
유럽 식품·유통기업들의 ESG 경영사례
LIS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