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기획
기사
“원자력발전·재생에너지 기후위기 대응 어벤저스”
2024.05.23

세션2 ‘에너지의 미래-블루, 그린’
정규창 한화큐셀 사업지원팀장
“ 북미 최대 태양광 생산단지 구축”
안드레아스 뭉크 얀선 오스테드 책임
“韓과 3조 풍력기자재 계약 체결”

 

Screenshot 2024-05-24 at 14.18.39.JPG

 

“지구는 어벤져스가 지킨다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어벤져스는 원전과 재생에너지다.”

 

22일 서울 반포 세빛섬 가빛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4회 H.eco포럼(헤럴드환경포럼). 이날 행사에서 진행된 세션2 ‘에너지의 미래-블루, 클린 그리고 그린(Blue, Clean and Green)’에 참석한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을 한 문장으로 요약했다.

 

세션2에는 정동욱 교수를 비롯해 김기홍 맥킨지앤드컴퍼니 파트너, 정규창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하 한화큐셀) 사업지원팀장, 덴마크 해상풍력 개발업체인 오스테드의 안드레아스 뭉크 얀선 아시아·태평양 운영 책임 등이 발표를 통해 에너지 전환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최근 인공지능(AI) 발전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를 감당하기 위해선 화석연료가 여전히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지만, 탈탄소 감축이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전환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이들은 특히 강조했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은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고 있다.

 

김기홍 맥킨지앤드컴퍼니 파트너는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대표되듯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는 법안은 늘어나고 있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액도 기록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미래 에너지 기술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 데다가 최근 화력 발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실제 에너지 전환이 이뤄질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존재한다”며 “하지만 맥킨지 분석 결과 에너지 비중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증가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정규창 한화큐셀 사업지원팀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액화천연가스(LNG) 공급 이슈가 발생하면서 독립적으로 전력을 만들 수 있는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고 말했다.

 

기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로 태양광과 풍력, 원자력 등이 꼽히고 있다. 실제로 주요 에너지 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 기반을 넓히기 위해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다. 한화큐셀은 3조4000억 원을 투자해 미국 조지아주에 북미 최대 규모의 태양광 통합 생산단지 ‘솔라허브’를 구축하고 있다. 오스테드는 현재까지 한국 기업과 총 3조원 이상의 풍력 기자재 계약을 체결했다.

 

얀선 책임은 “해상풍력 발전을 이루기 위해 한국 공급업체와 협력을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며 “해상풍력 발전 단지 하나 만으로 1만 가구에 청정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원자력의 경우 두산에너빌리티는 차세대 원전으로 불리는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을 위해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손을 잡았다.

 

정동욱 교수는 “원전을 운영하고 있는 프랑스와 대표적인 탈원전 국가인 독일이 전력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 배출량에 대해 조사한 결과 프랑스가 압도적으로 적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현재 전 세계에서 90여 종의 SMR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중 10여 종 정도가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이라며 “개발되고 있는 제품 모두 안전성, 확장성 등에서 대동소이하지만 결국은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SMR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만큼 업체들 모두 가격을 낮추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에서 에너지 전환이 조속히 이뤄지기 위해서는 제도적 개선은 물론 정부 차원의 과감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참석자들은 목소리를 모았다.

 

정규창 팀장은 “태양광을 설치해도 가정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계통망 확보 문제가 주요 국가들의 걱정거리로 떠오르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계통망에 대한 투자가 지속해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얀선 책임은 “다른 나라에서는 풍력발전이 검증된 만큼, 한국도 해외 사례를 검토해 풍력발전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영대 기자

 

한영대 yeongdai@heraldcorp.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312574?sid=101

SHARE
이전글
“핵무기 못지않은 기후위기 도전적인 목표 설정해야”
다음글
“즐겁게 할 수 있는 기후행동부터 시작”
LIST MORE